배워서 남주는 개발자 :)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32

22.04.16 [항해99 41일차] JSON.stringify()

🛑 오늘의 한줄평 👉🏻 로그인 구현 및 장바구니 CRUD 🛑 오늘 한 일 07:00 - 07:30 준비 07:30 - 08:30 운동 08:30 - 09:00 이동 09:00 - 10:00 오전 이슈회의 10:00 - 11:00 아점 11:00 - 17:00 로그인 기능 구현 17:00 - 19:30 저녁 19:30 - 20:00 블로그 포스팅 20:00 - 23:00 휴식 23:00 - 02:30 sql 강의 🛑 오늘 할 일 노드 강의 60분 multer - 이미지 전송 파일 양식 찾아보기 개인 프로젝트 작업 - 회원가입 로그인 기능 붙이기! 실행 context (+호출스택)- this / scope : https://catsbi.oopy.io/fffa6930-ca30-4f7e-88b6-28011fde..

항해99 2022.04.18

res.locals / app.locals / req.app.locals 차이점

app.locals 자바스크립트 객체이고, 프로퍼티들은 애플리케이션 내의 지역 변수들이다.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 타임 동안 유효하다. req.app.locals 미들웨어에서 app의 지역 변수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res.locals res.locals의 프로퍼티들은 request의 라이프 타임 동안에만 유효하다. html/view 클라이언트 사이드로 변수들을 보낼 수 있으며, 그 변수들은 오로지 거기서만 사용할 수 있다. 참고자료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5111143/express4-whats-the-difference-between-app-locals-res-locals-and-req-app-local

Web 2022.04.16

javascript JSON.parse() / JSON.stringify() 사용법

JSON 내장 객체 자바스크립트에서는 JSON 포멧의 데이터를 간편하게 다룰 수 있도록 JSON이라는 객체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이 객체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브라우저에서 실행하든 Node.js 런타임에서 실행하든 상관없이 전역(global)에서 접근이 가능합니다. JSON 내장 객체는 JavaScript 객체와 JSON 문자열 간의 상호 변환을 수행해주는 두 개의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JSON.parse() - JSON으로받은 것을 “구문 분석”하기위한 것입니다. JSON.stringify() - 객체 / 배열에서 JSON 문자열을 만드는 것입니다. JSON.parse - JSON 텍스트 문자열을 JavaScript 객체로 변환합니다. JSON.stringify - JavaScript 객체를 JSON ..

Web 2022.04.16

[Node.js / mongoose] 데이터 조회에 사용가능한 방법 (find / findOne / findById)

우리가 검색을 할때 3가지 방법으로 할 수 있다. 1. findOne() 2. findById() 3. find() * Model.findById(id) _id를 기준으로 단일 문서를 찾는다. _id를 기준으로 질의하려면 findOne()대신에 findById()를 사용하라고 한다. 참고문서 Mongoose v6.3.0: Parameters doc «Object» values for initial set optional «[fields]» object containing the fields that were selected in the query which returned this document. You do not need to set this parameter to ensure Mongoose ha..

Web 2022.04.16

프로세스 주소공간

1. Text(Code) 영역 우리가 작성한 코드가 들어가는 부분. 즉, 실행할 프로그램의 코드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텍스트(code)영역이라고도 부른다. 코드영역은 실행 파일을 구성하는 명령어들이 올라가는 메모리영역으로 함수, 제어문, 상수 등이 여기에 지정된다. 컴파일 타임에 결정되고 중간에 코드를 수정할 수 없게 Read-Only로 지정되어 있다. 2. Data 영역 프로그램의 전역 변수와 정적(static) 변수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즉,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동안 항상 접근 가능한 변수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전역변수, static 값을 참조한 코드는 컴하일 하고 나면 Data 영역의 주소값을 가르키도록 바뀐다. 데이터 영역은 프로그램의 시작과 함께 할당되며,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소멸된다. 실행 도중..

CS 2022.04.15

22.04.15 [항해99 40일차] 스웨거 튜토리얼

🛑 오늘의 한줄평 👉🏻 클론코딩 시작 🛑 오늘 한 일 06:00 - 07:00 영상 07:00 - 09:00 휴식 09:00 - 09:30 클론코딩 발제 09:30 - 12:00 와이어프레임 설계 12:00 - 12:30 점심 12:30 - 18:00 api 작성 18:00 - 19:30 저녁 19:30 - 22:00 로그인 코드 작성 🛑 오늘 할 일 노드 강의 60분 multer - 이미지 전송 파일 양식 찾아보기 findOne vs findbyId 정리 : https://mongoosejs.com/docs/api.html#model_Model.findById 개인 프로젝트 작업 - 회원가입 로그인 기능 붙이기! 실행 context (+호출스택)- this / scope : https://catsbi...

항해99 2022.04.15

22.04.14 [항해99 39일차] SQL vs NoSQL

🛑 오늘의 한줄평 👉🏻 재부팅 🛑 오늘 한 일 07:00 - 08:00 아침 08:00 - 09:30 노드 강의 09:30 - 10:00 cs 스터디 10:00 - 12:00 노드 강의 12:00 - 13:00 점심 13:00 - 15:30 블로그 포스팅 15:30 - 18:30 준비 및 본가 이동 18:30 - 19:30 배포 19:30 - 20:00 저녁 20:00 - 21:00 프로젝트 멘토링 21:00 - 휴식 🛑 오늘 할 일 노드 강의 30분 multer - 이미지 전송 파일 양식 찾아보기 findOne vs findbyId 정리 : https://mongoosejs.com/docs/api.html#model_Model.findById router 정리 : https://expressjs.com..

항해99 2022.04.15

22.04.13 [항해99 38일차] 오류수정 Cannot set headers after they are sent to the client

🛑 오늘의 한줄평 👉🏻 재부팅 🛑 오늘 한 일 07:00 - 08:00 아침 08:00 - 12:00 휴식 12:00 - 13:00 점심 13:00 - 18:00 미니 프로젝트 에러수정 18:00 - 19:30 저녁 19:30 - 21:00 미니 프로젝트 에러수정 21:00 - 21:30 노드 강의 🛑 오늘 할 일 login 코드 작성 노드 강의 30분 multer - 이미지 전송 파일 양식 개인 프로젝트 작업 - 회원가입 로그인 기능 붙이기! findOne vs findbyId 실행 context (+호출스택)- this / scope : https://catsbi.oopy.io/fffa6930-ca30-4f7e-88b6-28011fde5867 이벤트 루프 프로토타입 함수형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프로그래..

항해99 2022.04.15

SQL vs NoSQL (MySQL vs MongoDB)

**해당 포스팅은 academind의 포스팅을 번역한 포스팅입니다.** https://academind.com/tutorials/sql-vs-nosql [ 개요 ]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딛은 이후 한 가지 선택사항을 마주하게 됩니다. MySQL과 같은 SQL을 사용할 것인지? 혹은 MongoDB와 같은 NoSQL을 사용할 것인지? 특히 Node.js에 익숙한 분들이라면 NoSQL(MongoDB)이 더 좋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을지도 모르지만 이는 잘못된 생각입니다. 이 글에서는 SQL과 NoSQL의 핵심적인 개념을 소개하고 각 솔루션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소개하겠습니다. [ SQL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SQL은 '구조화된 쿼리 언어(Structured Query Language)'의..

Web 2022.04.14

Git Command Transaction 한눈에 정리하기! 깃 이해하기

아래의 그림은 Git 프로젝트를 사용할 때 중심이 되는 transaction을 네가지 단계별로 나타낸 것입니다. Working Directory: 현재 작업 중인 Git 프로젝트 파일들이 있는 내 PC의 디렉토리입니다. 평소 작업하듯 자유롭게 프로젝트를 작업할 수 있습니다. Staging Area: 커밋할 변경 내역들의 대기 장소입니다. ‘git add’ 명령어를 사용하면 Working Directory의 변경내역을 Staging Area에 올립니다. 명령어 옵션을 통해 이 단계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Local Repository: 커밋들이 스냅샷으로 기록된 곳입니다. ‘git commit’ 명령어를 사용하면 Staging Area에 있는 변경내역들을 실제 스냅샷으로 묶어 Local Repository..

Web 2022.04.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