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워서 남주는 개발자 :)

JS

[ JS 딥다이브 ] 12주차 : let, const 키워드와 블록레벨 스코프

핏짜보이 2023. 5. 6. 18:47
반응형

 

1.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의 문제점

ES5까지 변수를 선언할 수 있는 방법은 var키워드를 사용하는 것이 유일했다. 

특히 var 키워드는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다. 이는 다른 언어와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으로 주의하지 않으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1-1. 변수 중복 선언 허용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중복 선언가능하다.

var x = 1;
var y = 1;

//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같은 스코프 내에서 중복 선언을 허용한다.
// 초기화문이 있는 변수 선언문은 JS엔진에 의해 var키워드가 없는 것처럼 동작한다.
var x = 100;
// 초기화문이 없는 변수 선언문은 무시된다.
var y;

console.log(x);          // 100
console.log(y);          // 1

// 이처럼 동일한 이름의 변수가 이미 선언되어 있는 것을 모르고 
// 변수를 중복 선언하면서 값까지 할당했다면 의도치 않게 먼저 선언된 변수 값이 변경되는 부작용이 발생한다.

  1-2. 함수 레벨 스코프

    var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오로지 함수의 코드 블록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한다.

    따라서 함수 외부에서 var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코드 블록 내에서 선언해도 전역변수가 된다.

var x = 1;

if(true){
  // x는 전역 변수다. 이미 선언된 전역 변수 x가 있으므로 x는 중복선언된다.
  // 이는 의도치 않게 변수값이 변경되는 부작용을 발생시킨다.
  var x = 10;
}

console.log(x);         // 10



var i = 10;

// for문에서 선언한 i는 전역변수다. 이미 선언된 전역 변수 i가 있으므로 중복 선언된다.
for(var i = 0; i < 5; i++){
  console.log(i);       // 0 1 2 3 4
}

// 의도치 않게 i 변수의 값이 변경되었다.
console.log(i);         // 5

// 이처럼 함수레벨 스코프는 전역 변수를 남발할 가능성을 높인다.

  1-3. 변수 호이스팅

    var 키워드로 변수를 선언하면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변수 선언문이 스코프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한다.

    즉,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변수 선언문 이전에 참조할 수 있다.

    단, 할당문 이전에 변수를 참조하면 항상 undefined를 반환한다.

// 이 시점에는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이미 foo 변수가 선언되었다.(1. 선언)
// 변수 foo는 undefined로 초기화된다.(2. 초기화)
console.log(foo);        // undefined

// 변수에 값을 할당(3. 할당 단계)
foo = 123;

console.log(foo);        // 123

// 변수 선언은 런타임 이전에 JS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실행된다.
var foo;


// 변수 선언문 이전에 변수를 참조하는 것은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에러를 발생시키지는 않지만 
// 프로그램의 흐름상 맞지 않을뿐더러 가독성을 떨어트리고 오류를 발생시킬 여지를 남긴다.

 

2. Let 키워드

위에서 확인한 var 키워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ES6에서는 새로운 변수 선언 키워드인 let과 const를 도입했다.

 

  2-1. 변수 중복 선언 금지

    let 키워드는 이름이 같은 변수를 중복 선언하면 문법 에러(syntax error)가 발생한다.

var foo = 123;
//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같은 스코프 내에서 중복 선언을 허용한다.
// 아래 변수 선언문은 JS엔진에 의해 var키워드가 없는 것처럼 동작한다.
var foo = 456;

let bar = 123;
// let이나 const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같은 스코프 내에서 중복 선언을 허용하지 않는다.
let bar = 456;     // SyntaxError: Identifier 'bar' has already been declared

  2-2. 블록 레벨 스코프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오직 함수의 코드 블록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하는 함수 레벨 스코프를 따른다.

    하지만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모든 코드 블록(함수/ if문/ for문/ while문/ try-catch문등)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하는

    블록레벨 스코프를 따른다.

 

  2-3. 변수 호이스팅

    var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와 달리 let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한다.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선언 단계"와 " 초기화 단계"가 분리되어 진행된다.

    즉, 런타임 이전에 JS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선언 단계가 먼저 실행되지만, 초기화 단계는 변수 언언문에 도달했을 때 실행된다.

    만약 초기화 단계가 실행되기 이전에 변수에 접근하려고 하면 참조 에러(referenceError)가 발생한다.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스코프의 시작지점부터 초기화 단계 시작 지점(변수 선언문)까지 변수를 참조할 수 없다. 

    이 구간을 일시적 사각지대(TDZ-Temporal Dead Zone)라고 부른다.

 

  2-4. 전역 객체와 let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와 전역 함수 그리고 선헌하지 않은 변수에 값을 할당한 암묵적 전역은

    전역객체 window의 프로퍼티가 된다.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를 참조할 때 window를 생략할 수 있다.

 

    let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아니다. 즉, window.foo와 같이 접근 할 수 없다.

    let 전역 변수는 보이지 않는 개념적인 블록(전역 렉시컬 환경의 선언적 환경 레코드) 내에 존재한다.

 

3. Const 키워드

const 키워드는 상수를 선언하기 위해 사용한다. 하지만 반드시 상수만을 위해 사용하지는 않는다. 

 

  3-1. 선언과 초기화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반드시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문법 에러가 발생한다.

    또한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let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와 마찬가지로 블록 레벨 스코프를 가지며,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한다.

const foo = 100;

const boo;             // SyntaxError

  3-2. 재할당 금지

    var 또는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재할당이 자유로우나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재할당이 금지된다.

 

  3-3. 상수

    상수는 재할당이 금지된 변수를 말한다. 

    const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원시값을 할당한 경우 우너시값은 변경할 수 없는 값이고, const 키워드에 의해 재할당이 금지되므로

    할당된 값을 변경할 수 있느느 방법은 없다.

 

  3-4. const 키워드와 객체

    const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객체를 할당한 경우 값을 변경할 수 있다.

const person = {
  name: 'Lee';
}

//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이다. 따라서 재할당 없이 변경이 가능하다.
person.name = 'Kim';
console.log(person);        // {name: "Kim"}

// const 키워드는 재할당을 금지할 뿐, '불변'을 의미하지 않는다!

 

4. var Vs let Vs const

변수 선언시 기본적으로 const를 사용하고, let은 재할당이 필요한 경우에 한정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

const 키워드를 사용하면 의도치 않은 재할당을 방지하기 때문에 조금 더 안전하다.

 

[키워드 사용시 권장사항]

  • ES6에서는 var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기
  • 재할당이 필요한 경우에 한정해 let 키워드를 사용. 이때 변수의 스코프는 최대한 좁게 만들기
  • 변경이 발생하지 않고 읽기 전용(재할당이 필요 없는 상수) 원시값과 객체에는 const 키워드 사용하기

      (const 키워드는 재할당을 금지하기 때문에 var, let 키워드보다 안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