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6:30 - 07:30 캐시메모리 유튜브
-
07:30 - 10:00 개인프로젝트 다시 만들어보기
-
10:00 - 12:00 서버 연결
-
12:00 - 13:00 점심
-
13:00 - 14:00 휴식
-
14:00 - 17:30 개인프로젝트 마무리 후 제출
-
17:30 - 19:00 저녁
-
19:00 - 22:00 추가 개인 프로젝트
[항해99 18일차]
🛑오늘 할 일
-
개인 과제 서버 연결해서 배포하기
-
개인 프로젝트 readMe작성
-
개인 프로젝트 코드 리팩토링 및 회원가입/로그인 구현하기
🛑오류수정
🛑새로 알게된 내용
[가장 많이 쓰는 몇 가지 리눅스 명령어]
ls: 내 위치의 모든 파일을 보여준다. pwd: 내 위치(폴더의 경로)를 알려준다. mkdir: 내 위치 아래에 폴더를 하나 만든다. cd [갈 곳]: 나를 [갈 곳] 폴더로 이동시킨다. cd .. : 나를 상위 폴더로 이동시킨다. cp -r [복사할 것] [붙여넣기 할 것]: 복사 붙여넣기 rm -rf [지울 것]: 지우기 sudo [실행 할 명령어]: 명령어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 sudo su: 관리자 권한이 있는 계정으로 접속한다. (exit 입력하면 관리자 계정에서 로그아웃)
-
Q3. 어떻게 res.sendFile(__dirname + ‘index.html’)으로 페이지를 랜딩할 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단순 텍스트 출력(res.send)과 비교해서 html파일의 컨텐츠를 표시할 때에는 res.sendFile함수를 사용한다. 이때 sendFile함수 안에 파라미터로 파일의 절대경로를 지정해 줘야한다. 파일의 절대경로를 나타낼때에는 __dirname으로 현재 실행되고있는 app.js 파일의 위치 값을 가져올수있고 현재 위치 값에, 표시하고자 하는 html파일의 이름을 붙여주면 된다.
-
Q1. 클라이언트에서 express js로 구현된 서버로 AJAX요청을 보낼때 왜 contentType : aplication/json 으로 왜 정의 해주어야만 통신이 되는지 그리고 dataType과 content type의 차이 또한 궁금합니다.
contentType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보내는 데이터 타입을 명시하는거고, dataType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해주는 데이터타입입니다. contentType을 설정하지 않으면 default값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charset=UTF-8 로 지정이 됩니다.
따라서 json형태로 데이터를 서버에 보내고 싶으면 contentType: “application/json”으로 설정해주어야합니다. 그리고 웹서버로 데이터를 보낼때 데이터 형태는 반드시 문자열입니다. 따라서 JSON.stringfy()를 활용하여 data를 문자열로 변환시켜야 보내진다고 합니다.
-
무중단 배포란?
-
Error: ENOENT: no such file or directory,
https://codingmania.tistory.com/243
Uploaded by Notion2Tistory v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