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6:00 - 07:00 map() 정리
-
07:00 - 08:00 준비
-
08:00 - 09:00 filter() reduce() 정리
-
09:00 - 10:00 cs 스터디 발제 및 진행방향 회의
-
10:00 - 12:00 알고리즘 14번
-
12:00 - 13:00 점심
-
13:00 - 17:30 알고리즘 21-25번
-
17:30 - 19:00 저녁
-
19:00 - 20:00 알고리즘 17-20번
-
20:00 - 20:30 오후 알고리즘 리뷰(17 - 20)
-
20:30 - 21:00 알고리즘 복습
-
21:00 - 22:00 잔디심기 회의(git deskTop 연결)
-
22:00 - 22:30 알고리즘 리뷰
[항해99 8일차]
🛑오류수정
-
console.log() 안에서 특정 함수를 실행 후에 값을 출력한 경우 의도한 대로 나오지 않은 에러
→ 해결법 : console.log()로 객체를 출력할때 그 순간의 객체값을 출력하지 않고, 없데이트된 값을 출력함.
객체를 참조해서 출력하기 때문!
https://jongbeom-dev.tistory.com/114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Console/log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3703222/why-is-false-in-javascript
🛑새로 알게된 내용
-
== 와 === 차이
===는
자료형이랑 숫자 모두 같을때쓰고요, ==는 자료형이 달라도 들어있는
내용이 같으면 같다고해줍니다.
그래서 1과 "1"을 같은 데이터로 처리하기 위해서 ==연산자를 쓰신거에요!
-
=== 와 == 차이
→ '
==' 연산자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유형의 두 변수의
[값]만비교
'==='는 엄격한 비교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값 & 자료형]-> true).
-
Number()와 parseInt() 차이
→공통점 : 둘다 문자열을 인자로 받으면 해당 문자열을 숫자로 바꿔줌
차이점 :
Number()은 문자열이 숫자가 아닌 경우에는 엄격하게 NaN이 저장됨
parseInt()는
문자열이 숫자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숫자가 끝날때 까지만 숫자로 변환하여 저장됨. 문자열의 시작이 숫자가 아니면 Number()과 마찬가지로 NaN이 저장됨.
Uploaded by Notion2Tistory v1.1.0